본문 바로가기

123123

여러 학자의 견해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개념을 서술하시오.

반응형

흔히들 청소년이란 이야기 했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어린이는 아니고 청년(성인) 사이의 시기라고 생각한다. 청소년이라 했을 때 연령도 14세부터 19세까지를 이야기 하며 대부분은 중학교~고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이 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청소년에 대한 연령규정은 사회마다 다르며 그 사회안에 법이나 규범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있어서 청소년기본법에 의하면 9세부터 24세로 규정되어져 있지만 청소년을 보호하거나 규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청소년보호법에 의거해 19세미만을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을 의미하는 teenage의 경우에도 teen이 들어가므로 이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청소년에 대한 개념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인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청소년은 청소년기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시대나 문화적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청소년이라는 것은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사회에 있어서 청소년들에게 기대하고 그들에게 의무나 역할을 부여하는 것에 따라서 청소년들의 심리, 행동, 사고와 같은 것들은 달라질 수 있다. 그들의 문제행동의 경우에도 사회에서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시대나 사회를 불문하고 고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특정 사회에 있어서 청소년들의 대한 행동은 어떠한 역할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그 개념이나 대처방안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것들의 경우에는 시대나 사회의 특성에 따라 청소년들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들의 인지발달이나 주변 환경의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아야 할 것이다.

고대에서 청소년이란 용어는 개념없이 단지 어른의 축소형으로만 인식해왔으며 19세기에 들어와 아동의 특성들을 연구하고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각 발달단계에 따른 관심 및 과학적 연구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는 산업혁명이 발생한 시기에 의무교육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 때 인간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청소년기의 경우에는 고유한 발달을 하는 시기였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버기스와 로스는 사춘기와 청소년의 개념의 경우에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시기에 경우에는 급성장하기 때문에 12세에서 20세까지라고 하였다. 또한 심리학자 오즈벨의 경우에는 청소년으 개념은 완성된 상황이 아닌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과정 중에 하나라고 보기도 하였다.

사회학적으로 보았을 때에 독일의 사회학자인 셀스키의 경우에는 청소년기의 경우에는 회의세대로 바라보았으며 그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고 한다.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인간 행동발달단계로서 아동으로서의 역할이나 행동은 수행하지는 않으나, 성인으로서의 역할과 행동을 하기에는 이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미성숙한 시기에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교육이나 정치, 경제 등과 같은 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라고 정의를 하기도 하였다. 셀스키의 경우에는 청소년기의 연령을 14세에서 25세로 규정하고 있으며 푀겔러의 경우에는 인간성장에 있어서 청소년기의 경우에는 따로 분리하여 개념화 할 수 없다라고 하여 청소년에 대한 정의는 하지 않았고 단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으로만 보기도 하였다.

 

진화론적 관점으로 본 Hall의 경우에는 야만인이 문명인으로 발전하기 위한 그 과정을 변화시키는 시기를 청소년기라고 하였다. 그는 경우에는 청소년들은 연령층과 같은 집단을 으로 보았으며 심리학자 저서를 통해서 라틴어 동사인 “adolescere”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어원적으로 성장하다, 성숙에 이르는, 미성숙한 상태에서 벗어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안나 프로이드의 경우에는 청소년들은 정상적인 발달과정에 있어서 혼란을 경험하거나 부모들(기성세대)와의 반항을 통해 질풍노도의 시기를 통과해야만 한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하나의 통과의례를 겪어야 어른(성인)이 된다고 하였다. 반듀라와 같은 사회학습이론가의 경우에는 청소년들은 안나 프로이드가 주장한 것과는 다르게 이러한 반항이나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을 필요도 없다고 주장하였으며 어른들이 청소년들의 반항이나 혼란스러움과 같은 경험들을 지나친 일반화로 하여 무의식 속에 청소년들을 자신만의 틀에 끼워 맞춘다고 지적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해방 이전까지의 경우에는 조혼제도로 인해 아동기에서 바로 성인기로 넘어가게 됨으로서 청소년기가 없었으며 청소년 시기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인식을 갖지 못했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 청소년에 관심을 갖기 시작을 했던 시기는 1980년대 이며 그전에는 산업화에 따른 사회구조 및 가치관 문제로 인해 청소년 문제들이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청소년들에 대한 올바른 육성정책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면서부터 였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국가적인 관심의 경우에는 1964년 청소년 보호대책위원회의 발족을 기점으로 하여 다양한 위원회들이 생기게 되었으며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간 시행될 청소년에 대한 기본 계획들과 그 근거법으로 청소년기본법을 제정하여 발효하기 시작하였으며 점진적으로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과 보호, 양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다.

 

청소년의 개념은 서두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사회나 문화 그리고 시대의 상황에 맞게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이 청소년기가 거의 없거나 아주 짧은 시기를 겪기도 하고 어떤 상황에서는 길 수도 있다. 특히 청소년기가 나타나지 않는 사회에 있어서 아동들은 그 사회의 특정한 통과의례를 거치면서 성인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 것이다.(우리나라의 조혼문화) 하지만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고등교육으로 인해 재학기간이 길거나 직업 훈련을 통해서 청소년기가 점차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에는 청소년들에 대한 개념은 학자들마다 다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으며 자연과학과 같이 명확히 정의하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청소년에 대한 개념에 있어서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인생에 있어서 새로운 출발의 시기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아동과는 다르게 급격한 변화와 지적, 심적, 신체적인 성장을 통해서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거나 성숙해지는 과정 중에 하나이며 이를 위해서 주변에 많은 환경과 사회의 관심이 필요 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반응형